News 상세보기: 제목, 날짜, 조회수, 내용으로 구성
제목 [활동] 2025 대학 외국인 입학 담당자 자격 인정 워크숍 개최
작성일 2025-05-21
조회수 53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 한국고등교육정보센터는 2025년 2월 21일(금) 대학 외국인 입학 담당자 자격 인정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고등교육 국제화를 위한 유학생 유치 관련 자격인정 사례 및 대학별 절차 공유를 통해 자격 인정 주체의 업무 이해도 제고를 위해 개최한 동 워크숍은 특별히 국가별 규제 및 법률의 차이와 교육의 질 보장 문제로 자격 인정이 까다로운 '초국경교육(Transnational Education, 이하 TNE)'을 주제로 하였다.

[대학 외국인 입학 담당자 자격 인정 워크숍 개요]
ㅇ (일시) 2025. 2. 21. (금) 10:00-11:40
ㅇ (방식) 온라인 화상 회의
ㅇ (참석자)
   - 대교협: 박민아 한국고등교육정보센터장 외 센터 직원 2명
   - 대학 및 전문대학 외국인 입학 및 유치 담당자 60명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고등교육정보센터 박민아 센터장은 TNE의 수요와 공급이 확대되고 그 형태가 다변화되는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탐색해볼 여지가 많다고 판단되며, 대학 담당자분들이 TNE와 자격 인정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하였다. 이어 한국고등교육정보센터 신민경 연구원이 TNE 정의와 주요 개념, 자격 평가 시 고려 사항에 대해 발표하였고 뉴질랜드 자격인정청(New Zealand Qualifications Authority, 이하 NZQA)의 Ms. Zahra Lacsamana (선임 자격 평가사), Mr. Henry Stephenson (자격 평가사)가 NZQA에서 다룬 TNE 자격 평가의 구체적인 사례를, 타슈켄트 아주대학교(AUT) 사업단 김재은 팀장이 TNE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다루어 발표하였다. 

□ TNE의 규제 방식 및 질 보장 등에 대해 이해관계자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자격 인정의 과정에 어려운 지점이 발생할 수 있다. 2025년 4월에 한국이 비준한 글로벌 협약에도 '국제 공동 학위 인정'에 대한 내용이 추가된 바, 한국고등교육정보센터는 대학의 수월하고 공정한 TNE 자격 평가를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다음글
[발간물] 이슈브리프 3호- 난민 고등교육 자격 인정을 위한 국가적 절차의 필요성
이전글
제4차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학위정보센터 네트워크(APNNIC) 총회 참석